🖥️ Operating System

Memory Management

Logical VS Physical Address

  • Logical Address(Virtual Address)
    • 프로세스마다 독립적으로 가지는 주소 공간
    • 각 프로세스마다 0번지부터 시작
    • CPU가 보는 주소는 Physical Address일 것 같지만, Logical Address
  • Physical Address
    • 실제 메모리에 올라가는 위치

주소 바인딩(Address Binding)

물리적인 메모리 주소를 결정하는 것
Symbolic Address → Logical Address → Physical Address
  • Compile Time Binding
    • 물리적 메모리 주소(Physical Address)가 컴파일 시 알려짐
    • 시작 위치 변경 시, 재컴파일
    • 컴파일러는 절대 코드(Absolute Code)를 생성
    • 컴파일 시 결정된 절대적인 위치에만 올라가 비효율적
  • Load Time Binding
    • Loader 책임 하에 물리적 메모리 주소 부여
    • 컴파일러가 재배치 가능 코드(Relocatable Code)를 생성한 경우 가능
  • Execution Time Binding(Runtime Binding)
    • 수행이 시작 된 이후에도, 프로세스의 메모리 상 위치를 옮길 수 있음
    • CPU가 주소를 참조할 때마다 Binding을 점검(Address Mapping Table)
    • 하드웨어적 지원이 필요
      • base and limit registers, MMU
    • 최근의 시스템
notion image

Memory Management Unit(MMU)

Logical Address를 Physical Address로 Mapping해주는 Hardware Device
  • MMU Scheme
    • 사용자 프로세스가 CPU에서 수행되며 생성하는 모든 주소값에 대해 Base Register(Relocation Register)의 값을 더한다.
  • User Program
    • Logical Address만을 다룬다.
    • 실제 Physical Address를 볼 수 없으며, 알 필요가 없다.

Dynamic Relocation

주소 변환
notion image

Hardware Support for Address Translation

운영체제 및 사용자 프로세스 간의 메모리 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레지스터
  • Relocation Register(Base Register)
    • 접근할 수 있는 물리적 메모리 주소의 최소값
  • Limit Register
    • 논리적 주소의 범위
  • 악성 프로그램이 Limit Register 범위 밖의 메모리를 접근하려고 하면 trap
    • notion image

Dynamic Loading

프로세스 전체를 메모리에 다 올리는 것이 아니라, 해당 루틴이 불려질 때 메모리에 load하는 것
  • Memory Utilization의 향상
  • 가끔씩 사용되는 많은 양의 코드의 경우 유용
    • ex) 가끔씩 사용되는 오류 처리 루틴
  • 운영체제의 특별한 지원 없이 프로그램 자체에서 구현 가능(OS는 라이브러리를 통해 지원 가능)
  • OS가 지원하는 페이징이 아니라 프로그래머가 하는 것을 의미
    • 하지만 섞어 쓰기도 함
Loading: 프로그램을 메모리로 올리는 것

Overlays

메모리에 프로세스의 부분 중 실제 필요한 정보만 올리는 것
  • 프로세스의 크기가 메모리보다 클 때 유용
  • OS의 지원 없이 프로그래머에 의해 구현
  • 작은 공간의 메모리를 사용하던 초창기 시스템에서 수작업으로 프로그래머가 구현
    • Manual Overlay
    • 매우 복잡

Swapping

프로세스를 일시적으로 메모리에서 Backing Store로 쫓아내는 것
  • Backing Store(Swap Area)
    • 디스크
      • 많은 사용자의 프로세스 이미지를 담을 만큼 충분히 빠르고 큰 저장 공간
  • Swap in / Swap out
    • 일반적으로 중기 스케쥴러(Swapper)에 의해 swap out 시킬 프로세스 선정
    • Priority-Based CPU Scheduling Algorithm
      • Priority가 낮은 프로세스를 Swapped out 시킴
      • Priority가 높은 프로세스를 메모리에 올려 놓음
    • Compile Time 혹은 Load Time Binding에서는 원래 메모리 위치로 Swap in 해야 함
    • Execution Time Binding에서는 추후 빈 메모리 영역 아무 곳에나 올릴 수 있음
    • Swap Time은 대부분 Transfer Time(Swap되는 양에 비례하는 시간)임

Dynamic Linking

Linking을 실행 시간(Execution Time)까지 미루는 기법
  • Static Linking
    • 라이브러리가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 코드에 포함됨
    • 실행 파일의 크기가 커짐
    • 동일한 라이브러리를 각각의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올리므로, 메모리 낭비
      • ex) printf 함수의 라이브러리 코드
  • Dynamic Linking
    • 라이브러리가 실행 시 연결(Link)됨
    • 라이브러리 호출 부분에 라이브러리 루틴의 위치를 찾기 위한 stub이라는 작은 코드를 둠
    • 라이브러리가 이미 메모리에 있으면, 그 루틴의 주소로 가고, 없으면 디스크에서 읽어옴
    • OS의 도움이 필요

Allocation of Physical Memory

  •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두 영역으로 나뉘어 사용
    • OS 상주 영역
      • Interrupt Vector와 함께 낮은 주소 영역 사용
    • 사용자 프로세스 영역
      • 높은 주소 영역 사용
  • 사용자 프로세스 영역의 할당 방법
    • Contiguous Allocation
      • 각각의 프로세스가 메모리의 연속적인 공간에 적재되도록 하는 것
        • Fixed Partition Allocation
        • Variable Partition Allocation
    • Non-Contiguous Allocation
      • 하나의 프로세스가 메모리의 여러 영역에 분산되어 올라갈 수 있음
        • Paging
        • Segmentation
        • Paged Segmentation

Contiguous Allocation

notion image
  • 고정 분할(Fixed Partition) 방식
    • 물리적 메모리를 몇 개의 영구적 분할(Partition)로 나눔
    • 분할의 크기가 모두 동일한 방식과 서로 다른 방식이 존재
    • 분할 당 하나의 프로그램 적재
    • 융통성이 없음
      • 동시에 메모리에 Load되는 프로그램의 수가 고정
      • 최대 수행 가능 프로그램 크기 제한
    • Internal Fragmentation 발생(External Fragmentation도 발생)
      • 프로그램 크기보다 분할의 크기가 작은 경우
      • 하나의 분할 내부에서 발생하는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 조각
      • 특정 프로그램에 배정되었지만 사용되지 않는 공간
  • 가변 분할(Variable Partition) 방식
    • 프로그램의 크기를 고려해서 할당
    • 분할의 크기, 개수가 동적으로 변함
    • 기술적 관리 기법 필요
    • External Fragmentation 발생
      • 프로그램 크기보다 분할의 크기가 작은 경우
      • 아무 프로그램도 배정되지 않은 빈 곳임에도, 프로그램이 올라갈 수 없는 작은 분할
    • Hole
      • notion image
      • 가용 메모리 공간
      • 다양한 크기의 Hole들이 메모리 여러 곳에 흩어져 있음
      • 프로세스가 도착하면 수용 가능한 Hole을 할당
      • 운영채제는 다음의 정보를 유지
        • 할당 공간
        • 가용 공간(Hole)
    • Dynamic Storage-Allocation Problem
      • 가변 분할 방식에서 size n인 요청을 만족하는 가장 적절한 Hole을 찾는 문제
      • First-fit
        • Size가 n 이상인 것 중, 최초로 찾아지는 Hole에 할당
      • Best-fit
        • Size가 n 이상인 가장 작은 Hole을 찾아서 할당
        • Hole들의 리스트가 크기 순으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, 모든 Hole의 리스트를 탐색해야함
        • 많은 수의 아주 작은 Hole들이 생성됨
      • Worst-fit
        • 가장 큰 Hole에 할당
        • 역시 모든 리스트를 탐색해야함
        • 상대적으로 아주 큰 Hole들이 생성됨
      • First-fit과 Best-fit이 Worst-fit보다 속도와 공간 이용률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짐(실험적 결과)
    • Compaction
      • External Fragmentation 문제를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
      • 사용 중인 메모리 영역을 한군데로 몰고, Hole들을 다른 한 곳으로 몰아 큰 Block을 만드는 것
      • 비용이 매우 많이 듦
      • 최소한의 메모리 이동으로 Compaction하는 방법(매우 복잡한 문제)
      • Compaction은 프로세스의 주소가 실행 시간에 동적으로 재배치 가능한 경우(Execution Time Binding)에만 수행될 수 있다.

Non-Contiguous Allocation

Paging

  • Process의 Virtual Memory를 동일한 사이즈의 Page 단위로 나눔
  • Virtual Memory의 내용이 Page 단위로 Non-Continous하게 저장됨
  • 일부는 Backing Storage에, 일부는 Physical Memory에 저장
  • Basic Method
    • Physical Memory를 동일한 크기의 Frame으로 나눔
    • Logical Memory를 동일 크기의 Page로 나눔(Frame과 같은 크기)
    • 모든 가용 Frame들을 관리
    • Page Table을 사용하여 Logical Address를 Physical Address로 변환
    • External Fragmentation 발생 X
    • Internal Fragmentation 발생 가능

Paging Example

notion image

Address Translation Architecture

notion image

Paging Hardware with TLB

notion image

Associative Register

  • Associative Registers(TLB): Parallel Search 가능
    • TLB에는 Page Table 중 일부만 존재
  • Address Translation
    • Page Table 중 일부가 Associative Register에 보관되어 있음
    • 만약 해당 Page #가 Associative Register에 있는 경우, 곧바로 Frame #를 얻음
    • 그렇지 않은 경우, Main Memory에 있는 Page Table로부터 Frame #를 얻음
    • TLB는 Context Switch 때, Flush(Remove Old Entries)

Effective Access Time(EAT)

  • Associative Register Lookup Time = ε
  • Memory Cycle Time = 1
  • Hit ratio = α
    • Associative Register에서 찾아지는 비율
  • Effective Access Time(EAT)
    • notion image

Two-Level Page Table

notion image
  • 현대 컴퓨터는 Address Space가 매우 큰 프로그램을 지원한다.
    • 32 Bit Address 사용 시, 2^32(4G)의 주소 공간
      • Page Size가 4k 일 때, 1M개의 Page Table Entry가 필요
      • 각 Page Entry가 4B 일 때, 프로세스당 4M의 Page Table 필요
      • 그러나,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4G의 주소 공간 중 지극히 일부분만 사용하므로, Page Table 공간이 심하게 낭비됨
    • 따라서 Page Table 자체를 Page로 구성
    • 사용되지 않는 주소 공간에 대한 Outer Page Table의 엔트리 값은 NULL(대응하는 Inner Page Table이 없음)

Two-Level Paging Example

  • Logical Address(on 32-bit machine with 4k page size)의 구성
    • 20 bit의 Page Number
    • 12 bit의 Page Offset
  • Page Table 자체가 Page로 구성되기 때문에, Page Number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. (각 Page Table Entry가 4B)
    • 10 bit의 Page Number
    • 10 bit의 Page Offset
  • 따라서, Logical Address는 다음과 같다.
    • notion image
  • P1은 Outer Page Table의 Index
  • P2는 Outer Page Table의 Page에서의 변위(Displacement)

Address-Translation Scheme

  • 2단계 Paging에서의 Address-Translation Scheme
notion image

Multi-Level Paging and Performance

  • Address Space가 더 커지면 다단계 Page Table이 필요
  • 각 단계의 Page Table이 메모리에 존재하므로 Logical Address의 Physical Address 변환에 더 많은 메모리 접근 필요
  • TLB(Translation Lookaside Buffer)를 통해 메모리 접근 시간을 줄일 수 있음
  • 4단계 페이지 테이블을 사용하는 경우
    • 메모리 접근 시간이 100ns, TLB 접근 시간이 20ns이고
    • TLB Hit Ratio가 98%인 경우
      • Effective Memory Access Time = 0.98 * 120 + 0.02 * 520 = 120ns
      • 결과적으로 주소 변환을 위해 28ns만 소요

Valid(v) / Invalid (i) Bit in a Page Table

notion image
Logical Memory / Page Table / Physical Memory
  • Page Table은 index로 접근하기 때문에 그 사이가 비어있어도 채워져있어야 한다.

Memory Protection

Page Table의 각 Entry마다 아래의 Bit를 둔다.
  • Protection Bit: 흔히 말하는 보안상 Protection은 아님(프로세스마다 메모리가 구분되어있어 애초에 접근 불가능함)
    • Page에 대한 접근 권한(Read/Write/Read-Only)
  • Valid-Invalid Bit
    • Valid는 해당 주소의 Frame에 그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유효한 내용이 있음을 뜻함(접근 허용)
    • Invalid는 해당 주소의 Frame에 유효한 내용이 없음*을 뜻함(접근 불허)
    • * 1) 프로세스가 그 주소 부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2) 해당 페이지가 메모리에 올라와 있지 않고, Swap Area에 있는 경우

Inverted Page Table

  • Page Table이 매우 큰 이유
    • 모든 Process별로 그 Logical Address에 대응하는 모든 Page에 대해 Page Table Entry가 존재
    • 대응하는 Page가 메모리에 있던 아니던 간에 Page Table에는 Entry로 존재
  • Inverted Page Table
    • Page Frame 하나 당 Page Table에 하나의 Entry를 둔 것(System-Wide)
    • 각 Page Table Entry는 각각의 물리적 메모리의 Page Frame이 담고 있는 내용 표시(PID, Process의 Logical Address)
    • 단점
      • 테이블 전체를 탐색해야 함
    • 해결책
      • Associative Register 사용(Expensive)

Inverted Page Table Architecture

notion image

Shared Page

Re-Entrant Code(== Pure Code)
  • Read-Only로 하여 프로세스 간에 하나의 code만 메모리에 올림 ex) text editors, compilers, window systems
  • Shared Code는 모든 프로세스Logical Address Space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어야 함
  • Private Code and Data
    • 각 프로세스들은 독자적으로 메모리에 올림
    • Private Data는 Logical Address Space의 아무 곳에 와도 무방

Shared Pages Example

notion image

Segmentation

  • 프로그램은 의미 단위인 여러 개의 Segment로 구성
    • 작게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함수 하나 하나를 Segment로 정의
    • 크게는 프로그램 전체를 하나의 Segment로 정의 가능
    • 일반적으로는 Code, Data, Stack 부분이 하나씩 Segment로 정의됨
  • Segment는 다음과 같은 Logical Unit들임
    • main()
    • function
    • global variables
    • stack
    • symbol table, arrays

Segmentation Architecture

  • Logical Address는 다음의 두가지로 구성
    • Segment-Number
    • Offset
  • Segment Table
    • 각 Table Entry는 다음을 가진다.
      • Base: Starting Physical Address of the segment
      • Limit: Length of the segment
  • Segment-Table Base Register(STBR)
    • 물리적 메모리에서의 Segment Table의 위치
  • Segment-Table Length Register(STLR)
    •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segment의 수
      • Segment Number s is legal if s < STLR
      • 아니면 trap 발생
  • Protection
    • 각 segment 별로 Protection Bit가 있음
    • Each Entry
      • Valid bit = 0 → Illegal Segment
      • Read/Write/Execution 권한 bit
  • Sharing
    • Shared Segment
    • Same Segment Number
    • Segment는 의미 단위이기 때문에 공유(Sharing)와 보안(Protection)에 있어 Paging보다 훨씬 효과적이다. (Paging은 같은 크기로 자르기 때문에, 어떤 것들은 Write가 가능하고, Read만 가능하고 이런 식으로 나누기 애매함)
  • Allocation
    • First Fit / Best Fit
    • External Fragmentation 발생
    • Segment의 길이가 동일하지 않으므로, 가변 분할 방식에서와 동일한 문제점 발생

Segment Hardware

notion image

Example of Segmentation

notion image

Segmentation with Paging

  • Pure Segmentation과의 차이점
    • Segment-Table Entry가 Segment의 Base Address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Segment를 구성하는 Page Table의 Base Address를 가지고 있음
  • 장점
    • 메모리에는 Page 단위로 올라가고
      • → Allocation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
    • 의미 단위로 해야하는 Sharing, Protection은 Segment Table 레벨에서 함
notion image

출처